증여세 면제한도란 특정 기간 동안(일반적으로 1년)에 개인이 다른 개인에게 증여할 수 있는 재산의 가액이 일정 금액 이하일 때, 그 증여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 한도를 의미합니다.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부모가 자녀에게 증여할 경우, 면제한도가 설정되어 있어 이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만 증여세가 부과됩니다.

증여세 면제한도 자녀
2023년 기준으로 자녀에게 증여할 때 면제받을 수 있는 한도는 5천만 원입니다. 이 한도는 10년 동안 누적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매년 5천만 원씩 증여할 수 있습니다.
성인 자녀(만 19세 이상) : 부모 등 직계존속으로부터 10년간 5천만 원까지 증여세가 면제됩니다. 미성년 자녀(만 19세 미만) : 10년간 2천만 원까지 면제됩니다.
배우자 : 부부 간에는 6억 원까지 증여세가 면제됩니다. 기타 친족(6촌 이내 혈족, 4촌 이내 인척) : 1천만 원까지 면제됩니다.
혼인·출산 공제 : 2024년부터 혼인신고일 전후 2년, 출생일 전후 2년 내에 부모 등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받은 경우 각각 1억 원까지 추가 공제가 가능합니다. 단, 중복 적용은 불가합니다.
증여세 면제한도 1억 5억
증여세 면제한도는 1억 원입니다. 직계존비속에게는 5억 원까지 면세입니다.

증여세 면제한도 신혼부부
신혼부부는 증여세 면제 한도가 최대 6천만 원입니다. 이 한도는 부부 각각에 적용되며, 결혼한 지 5년 이내의 부부가 부모로부터 받은 증여에 대해 적용됩니다.
증여세 면제한도 형제간 및 손자
형제 간의 증여세 면제한도는 10년 동안 500만원입니다. 손자에게 증여할 경우 면제한도는 10년 동안 1,000만원입니다.
유의사항 및 절세 전략
10년 단위로 면제 한도가 리셋되므로, 장기적으로 분산 증여하면 더 많은 금액을 세금 없이 증여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FAQ)
1. 증여세 면제한도란 무엇인가요?
증여세 면제한도는 특정 금액까지 증여를 받을 때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한도를 의미합니다.
2. 2023년 증여세 면제한도는 얼마인가요?
2023년 기준 증여세 면제한도는 1억 6천만 원입니다.
3. 면제한도를 초과하면 어떻게 되나요?
면제한도를 초과한 금액에 대해서는 증여세가 부과됩니다.
4. 증여세 신고는 어떻게 하나요?
증여를 받은 후 3개월 이내에 관할 세무서에 신고해야 합니다.
5. 여러 번 증여를 받을 경우 어떻게 적용되나요?
1년에 여러 번 증여를 받을 경우, 모든 증여액을 합산하여 면제한도를 판단합니다.
6. 면제한도는 가족 관계에 따라 다른가요?
직계 존비속 간의 증여는 면제한도를 적용받기 때문에 가족 관계에 따라 한도가 다르게 적용되지 않습니다.
7. 부동산 증여도 면제한도에 포함되나요?
네, 부동산 증여 역시 면제한도에 포함됩니다.